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덤프버전 : (♥ 0)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최근 진행된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문서
{{{#!html </div>의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번 문단을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부 대회에 대한 내용은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문서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번 문단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네이션스컵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국가대항전에 대한 내용은 PUBG Nations Cup 2022 문서
PUBG Nations Cup 2022번 문단을
PUBG Nations Cup 202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frica Cup of Nations
파일: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로고(2022).png
창설 연도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주최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진출 자격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등록된 축구협회 대표팀 중 개최국팀 및 예선을 통과한 23개 팀
최근 우승팀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2023)
최다 우승팀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7회)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트로피
4. 역대 우승팀
5. 역대 대회별 참가 선수 명단
6. 우승 횟수
7. 통산 랭킹
8. 국가별 개최 횟수
9. 역대 공인구
10. 여담
11. 참고 문헌



1. 개요[편집]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아프리카 국가 대항전 대회. 영어로는 Africa Cup of Nations, 약칭으로 AFCON이라고 부른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의 54개 정회원국[1]들이 참가한다. 수익 증대를 위해 다른 대륙컵과 달리 2년 주기로 개최한다. 기후를 고려하여 아프리카 대륙 중 북반구와 적도 근처에 위치한 국가에서 개최될 시 보통 1월에 개최한다.

특이하게도 다른 대륙별 축구 국가대표 선수권 대회와 달리 정식 명칭에 대륙 축구 연맹 이니셜이 대회 앞에 붙지 않는다.[2]


2. 역사[편집]


1957년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발족한 후 원년 멤버 4개국(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에티오피아, 이집트)이 4강 토너먼트전을 치른 것이 시초이다. 이집트가 준결승에서 수단을 2:1로 이겨 결승에 진출하고, 결승에서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 문제로 인한 실격[3]으로 인해 자동진출한 에티오피아를 4:0으로 제압해서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집트가 이 대회의 최강으로, 2017년 대회까지 7회로 가장 많이 우승했다. 게다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사상 최초로 3대회 연속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뒤를 잇는 강호가 5번 우승한 카메룬, 4번 우승한 가나이다. 2017년까지 총 14개국이 우승을 경험했는데, 그 중 연속 우승을 해 본 팀은 이집트, 가나, 카메룬 이렇게 3개국이다. 카메룬은 2017년 8번째 우승을 노리던 이집트를 결승에서 이기며 우승했다. 다만 이집트는 이 대회에서의 강세에 비해 월드컵 지역예선 성과가 안 좋아서, 1990년 본선진출 이후 무려 28년 동안 본선에 못 나가다 2018년에야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만일 개최 주기가 변동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2073년부터는 개최 횟수에서 코파 아메리카를 추월하게 된다.


3. 트로피[편집]


파일:nationscup1.png
파일:nationscup-2.png
압델 아지즈 압달라흐 살렘 트로피아프리카 유니티 트로피
1957년 ~ 1978년1980년 ~ 2000년
1957년부터 현재까지 총 3번 동안에 트로피 이름과 모습이 바뀌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첫번째 트로피는 1957년에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위한 은으로 된 트로피를 제작하였고 아프리카 축구 연맹의 초대 회장인 압델 아지즈 압달라흐 살렘의 이름을 따서 압델 아지즈 압달라흐 살렘 트로피라고 부르게 되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두번째 트로피는 1980년에 아프리카 스포츠 최고 평의회가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 트로피를 기증한 것으로 맨 아랫 부분은 정사각형 형태이며 나머지 부분은 아프리카 대륙 지도 위에 올림픽의 오륜기가 새겨진 원통형 형태에 삼각형 손잡이가 달려있는 트로피 모양이 변경되었으며 아프리카 유니티 트로피라고 새로운 트로피 이름을 바꾸었다.

파일:nationscup-3.png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트로피
2001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3번째 트로피는 2001년에 이탈리아에서 제작되었으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트로피라고 또다시 새로운 트로피 이름을 바꾸었고 금으로 도금되었다. 맨 아랫 부분은 월드컵 트로피와 유사한 돌 디자인으로 되어있고 맨 윗부분과 맨 아랫부분을 이어진 십이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맨 윗부분은 지구 반원으로 디자인 되었으며 그중에서 아프리카 대륙을 더욱 강조시켰고 지구 반원 주위에는 12개의 축구공 형태들이 옆에 붙어 있다.


4. 역대 우승팀[편집]


회차연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11957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공[4]
21959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5]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없음)[6]
31962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uganda colony.png 우간다
41963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51965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61968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66-1971).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71970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수단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81972파일:카메룬 국기(1961-1975).svg 카메룬파일:콩고 인민공화국 국기.svg 콩고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카메룬 국기(1961-1975).svg 카메룬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7]
91974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이집트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이집트파일:콩고 인민공화국 국기.svg 콩고
101976파일:에티오피아 국기(1975~1987).png 에티오피아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이집트
111978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2198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이집트
131982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41984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이집트
151986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161988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171990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181992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191994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01996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211998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97-2003).svg DR콩고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222000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232002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42004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252006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262008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272010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282012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기니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29201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302015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기니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DR콩고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기니
312017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322019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332021[8]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342023[9]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DR콩고
352025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예정
362027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 이집트와 가나가 대회를 가장 많이 개최했다.

  • 특이하게도 잠비아는 결승에 두 번 이상 진출한 팀 중 유일하게 우승을 못 했다가 2012년에 우승했다.

  • 이제까지 대회를 개최해봤던 팀들은 4강에 든 적이 거의 한 번 이상 있다. 2010년 개최국인 앙골라와, 2012년과 2017년 개최국인 가봉[10]만 4강에 진출한 적이 없을 뿐. 다만, 개최국이 4강에 들지 못한 적은 많이 있긴 하다.

  • 아프리카를 강타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 때문에 2015년 개최지였던 모로코가 1년 연기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CAF는 이미 2016년에 르완다에서 아프리칸 네이션스 챔피언십이 개최될 예정이라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렇다고 아프리칸 네이션스 챔피언십을 2015년으로 앞당기기에는 당장 지역예선을 치를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CAF는 11월 11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이사회를 열고 2015년 네이션스컵 개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국 모로코가 2015년 개최 포기를 고수하자 CAF는 모로코 축구 협회가 CAF와 맺은 대회 개최 협약을 위반한 책임을 물어 모로코의 2015년 대회 개최권 박탈과 출전 금지 징계를 내리고 새로운 개최국을 선정하기로 했다.
한편, CAF는 2015년 대회를 대타로 개최할 회원국을 사전에 물색했는데,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단, 알제리, 이집트는 대타로 개최하기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가나, 나이지리아는 명확한 입장 표명이 없었다. 특히 남아공은 예전에도 CAF 주관 대회의 개최권 반납이 나올 때마다 대타로 개최한 적이 많았는데(1996 ACN 케냐, 2011 U-20 리비아, 2013 ACN 리비아, 2014 CHAN 리비아) 이번엔 못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대체 개최국을 물색한 결과 2015년 대회는 적도기니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5. 역대 대회별 참가 선수 명단[편집]




6. 우승 횟수[편집]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국우승연도우승 횟수
1파일:Egypt_FA.png이집트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
★★

7회
2파일:Ethiopia_FA.png에티오피아1962
1회
3파일: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가나1963, 1965, 1978, 1982★★★★
4회
4파일:Congo_DR_FA.png콩고민주공화국1968, 1974★★
2회
5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udan_FA_%28logo%29.png수단1970
1회
6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go_Republic_FA.png콩고 공화국1972
1회
7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모로코1976
1회
8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나이지리아1980, 1994, 2013★★★
3회
9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카메룬1984, 1988, 2000, 2002, 2017★★★★★
5회
10파일:Algeria_NFT_(logo).png알제리1990, 2019★★
2회
11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코트디부아르1992, 2015★★
2회
1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남아프리카 공화국1996
1회
13파일: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튀니지2004
1회
14파일: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png잠비아2012
1회
15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세네갈2021
1회



국가명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73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1962, 2017, 2021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521984, 1988, 2000, 2002, 20171986, 2008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451963, 1965, 1978, 19821968, 1970, 1992, 2010, 2015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351980, 1994, 20131984, 1988, 1990, 2000, 2023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321992, 2015, 20232006, 201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211990, 2019198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201968, 1974-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1219701959, 1963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220041965, 1996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1220121974, 1994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220212002, 2019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1119621957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11976200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1119961998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101972-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01-1972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01-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01-1978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01-1982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01-2013


7. 통산 랭킹[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 통산 승점을 기준으로 랭킹을 나타낸 표이다. 1957년 ~ 2023년까지의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랭킹 기준은 FIFA 월드컵 통산 랭킹과 동일하다.

- 랭킹을 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최고 순위에 관계없이 총 승점을 기준으로 한다.
  • 승리는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 패배는 승점 0점으로 기록한다.[11]
  • 승점이 같을 경우 평균 점수[12] > 골득실 > 다득점 순으로 우선순위에 둔다.
랭킹승점진출경기득점실점골득실평균 점수최고 성적
1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2042611160242717597+781.84우승
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1972010458232314695+511.89우승
3파일:가나 국기.svg 가나1852410554232813893+451.76우승
4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169219546311814291+511.78우승
5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16925106482533144110+341.59우승
6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1219742925208766+211.51우승
7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0817713018238758+291.52우승
8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10820802824269793+41.35우승
9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06218325312710096+41.28우승
10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10018712622228372+111.41우승
11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 DR92208021293094107-131.15우승
12파일:말리 국기.svg 말리8413592121177068+21.42준우승
1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7111501817155548+71.42우승
14파일:기니 국기.svg 기니6314521518196573-71.21준우승
15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4713521017255178-270.90준우승
16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34931713113943-41.108강
17파일:가봉 국기.svg 가봉3182571082430-61.248강
18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294198562018+21.534위
19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2872677122740-131.08우승
20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2892777132942-131.04우승
21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25113074193167-360.83우승
22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234165831412+21.448강
23파일:토고 국기.svg 토고1782538141942-230.928강
24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1572343162138-170.65준우승
25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143113531213-11.27준우승
26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1151532101631-150.73조별리그
27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1028314610-41.258강
28파일:케냐 국기.svg 케냐1061724111231-190.59조별리그
29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8152217701.608강
30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8310226915-60.8조별리그
31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638134414-100.75조별리그
32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64131391131-200.4616강
33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52512257-21.00조별리그
34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5310127416-120.5016강
35파일:베냉 국기.svg 베냉5414059724-170.368강
36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4131113301.33조별리그
37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45150411833-250.27조별리그
38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31410347-30.7516강
39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339036618-120.33조별리그
40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3412039419-150.25조별리그
41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12601519-80.17조별리그
42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01300304-40조별리그
43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01300328-60조별리그
44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01300329-70조별리그


8. 국가별 개최 횟수[편집]


2017년 대회까지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다.
횟수개최국비고
4가나2000년은 나이지리아와 공동 개최
이집트UAR으로 개최한 1959년 포함
3튀니지
에티오피아
2나이지리아2000년은 가나와 공동 개최
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적도기니가봉과 공동 개최 (2012년)
가봉[13]적도기니와 공동 개최 (2012년)
코트디부아르
1리비아
말리
모로코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알제리
앙골라
카메룬
카메룬
미래의 개최 예정국
  • 2025년 모로코[14]
  • 2027년 케냐/탄자니아/우간다


9. 역대 공인구[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공인구
스폰서파일:아디다스 로고.svg
(~2015)
파일:mitre_sports_logo.png
(2017)
파일:Umbro 로고.svg
(2019~)
형태사용 연도
명칭
준우승우승
2008년 이전까지는 월드컵 공인구 사용
파일:2008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08
Wawa aba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Egypt_FA.png
파일:2010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0
Jabulani Angol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ederacion_Ghanesa_de_Futbol.svg.png파일:Egypt_FA.png
파일:2012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2
Comoequa
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잠비아 축구 협회 로고.png
파일:2013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3
Katlego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rkina_Faso_FA.png파일: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2015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5
Marhab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ederacion_Ghanesa_de_Futbol.svg.png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2017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7
CAF Mitre Delta Hyperseam
파일:Egypt_FA.png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2019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19
CAF Umbro Neo Pro
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Algeria-Logo-512x512-URL-300x300.png
파일:2021 Africa_Cup_of_Nations_Ball.png2021
CAF Umbro Toghu
파일:Egypt_FA.png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공 이름의 의미
- Wawa Aba,2008,: 용기, 인성 인내
- Comoequa,2012,: Como River + Equator (가봉과 적도 기니를 세로로 가로질러 흐르는 코모강+가봉과 적도 기니를 가로로 지나는 적도)
- Katlego,2013,: 성공
- Marhaba,2015,: 환영


10. 여담[편집]


  • 2006년 대회와 2010년 대회의 예선은 월드컵 예선을 겸했다. 때문에 2010년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공도 예선에 참가했다. 그러나 남아공은 1차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는 바람에 월드컵만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그 두 예선은 최종 라운드가 5개 조로 되어 있어서 조 3위까지 본선에 가는 구조였다. 2006년엔 개최국인 이집트가 조 3위를 거둬서 그 조는 4위인 리비아가 본선 출전권을 승계받았지만 2010년엔 개최국인 앙골라가 2라운드에서 광탈하는 바람에 최종 라운드에서 5개 조 모두 조 3위까지만 본선에 갔다.

  • 타 대륙 대회에 비해 랭킹이 낮은 팀이 랭킹이 높은 팀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굉장히 많이 나오는 대회이다. FIFA 월드컵에 출전했던 아프리카 강호들이 이 대회만 오면 랭킹이 훨씬 낮은 팀들에게 발목을 잡히는 경우가 일상일 수준. 또한 아프리카인이 아니어도 유럽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유로, 코파 못지않게 인기와 주목도가 높은 대륙간 대회이다. 후술했듯이 자기 팀의 선수가 혹시나 부상이라도 당할까봐 노심초사하며 보는 팬들이 굉장히 많다.

  • 월드컵 겸업은 선수 혹사 문제도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경비. 아직도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네이션스컵 외에 월드컵 예선으로 원정을 다니는데 드는 비용을 상당히 부담스러워 한다.

  • 1월에 열리기에 유럽 빅 리그에서 뛰는 아프리카 선수들이 참가함에 따라, 이들 리그 불만이 크다. 또한 2년마다 열리는 점도 한 몫한다. 오죽하면 팀 감독들이 자신의 팀에서 뛰는 선수가 차출되면 그 선수의 국대가 광탈해서 빨리 돌아와주기를 기원하는 웃지 못할 광경까지 연출될 정도. 그나마 1월이 더위가 덜한 편이라서 어쩔 수 없다. FIFA에선 6월 이후로 열 것을 제의했으나, 무더위로 선수가 위험하다고 아프리카 축구 연맹 반발이 장난아니며, 실제로 아프리카 리그에서 여름에 축구를 하다가 선수들이 일사병으로 목숨을 잃었던 적이 있었기에, 축구 안전도를 생각해야 할 피파가 이걸 고집할 일은 없어보였으나 2019 대회부터 6월 개최가 확정됐다. 하지만 그에 따른 안전 문제로 반발도 거셌기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의료반의 질적 상승이나 선수들이 원하면 교체를 더 허용하는 등 여러 방안을 제시했는데 확실히 이뤄질지는 모른다. 더운 날씨에 무리해서 축구 경기를 하다 응급실에 가거나 심하면 사망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확실한 대비를 갖추고 진행해야 할 듯. 2019년 이집트 대회는 6월에 개최했지만 2021년 다시 1월로 바꾸었고 2023년에는 여름 폭우로 인하여 2024년 1월로 연기되었다.

  • 치열한 아프리카 예선을 통과하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팀의 감독들은 월드컵과 같은 해에 이 대회가 열릴 경우, 결코 안심할 수 없다.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어도 여기에서 부진하면 얄짤없이 경질되는 일이 흔하기 때문. "아프리카에서도 성공 못하는데 세계 무대에서 먹히겠냐"라는 명분으로 경질이 된다. 연봉 비싸게 받는 외국인 감독 선임했더니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못한다며 경질하며 자국 출신으로 임명하는가 하면 반대로 자국 출신이라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실패했다며 연봉 두둑히 보장하며 유명 외국인 감독을 알바로 선임하는 두 가지 다른 경우가 있다. 다만 이게 지나치게 잦다보니 오히려 월드컵 본선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는 감독을 경질해놓고 새로운 감독을 선임을 못해서 감독 대행이나 임시 감독으로 월드컵을 나가는 경우가 있다.

  • 아프리카 내에서 위상이 매우 높다. 개발도상국이 많다보니 마라톤 같은 걸 제외하면 다른 스포츠를 할 경제적 여유가 없다보니 그나마 공과 골대만 있으면 즐길 수 있는 축구의 인기가 높다. 웬만한 아프리카 국가의 남자들은 축구선수로 유럽에 진출해 돈 버는데에 인생을 올인할 정도이니... 게다가 정치적으로도 민주주의가 잘 정착된 나라도 별로 없다보니 2년이라는 짧은 주기로 국민들의 관심을 축구에 돌려놓는 것 또한 효과가 꽤 쏠쏠하다.

  • 아시안컵과 함께 유럽 리그를 플레이하는 풋볼매니저유저들이 증오하는 대회이다. 아시안컵은 게임 내에서 영입할만한 고평가받는 아시아 선수가 적어서 기껏해야 1~2명 정도이고 개최주기인 4년에 그냥 한 번쯤 겪는 해프닝으로 칠수 있지만 네이션스컵은 2년 마다 선수를 차출해가기에 빡침이 더하다. 아프리카 선수들이 팀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 시즌 중반쯤에 차출되는 아프리카 선수들 때문에 스쿼드가 반쪽이 되는건 물론이고 부상을 입고 복귀하는 참사도 터진다. 이 때문에 네이션스컵에 치를 떨어서 아프리카 선수들은 어지간한 고어빌, 고포텐이 아닌 이상 쳐다도 보지않는 유저들마저 생길 정도. 비단 게임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네이션스컵 출전 문제로 인해 유럽 빅 리그 구단들은 아프리카 국적 선수를 영입할 때 팀에 확고히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서지 않으면 영입을 주저하기도 한다. [15]

  • 2010년 대회부터 여기서도 디펜딩 챔피언 징크스가 유행하고 있다. 2008년에 이어 2010년까지 연달아 우승한 이집트가 2012년 대회에서 예선 탈락한 것을 시작으로, 2012년 우승국 잠비아가 2013년 대회에서 3전 전무로 조별 라운드 탈락, 2013년 대회 우승국 나이지리아가 2015년 대회에서 예선 탈락, 2015년 대회의 우승국 코트디부아르마저 2017년 대회에서 2무 1패로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심지어 2017년 대회 우승국 카메룬은 2019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준비 미달 및 정세 불안을 이유로 개최를 취소당해 버리는 바람에 호스트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던 본선행도 취소가 되어버렸다. 아직 탈락한 건 아니지만, 코모로와의 마지막 경기를 패한다면 예선 탈락해 2015년의 나이지리아 꼴이 날 수도 있다. 그나마 가까스로 대회 예선에 통과하여 2019년 이집트 대회 본선에 카메룬은 나가게 되었는데, 조별 라운드는 뚫었지만 16강에서 광탈하면서 징크스를 깼다고 하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2019년 대회에서 우승을 한 알제리가 2021년 대회 조별 라운드에서 시에라리온과 비기고 최약체 적도 기니에 지는 등 한심한 모습을 보이며 조 꼴찌로 탈락하고 말았다. 2021년 대회 우승팀 세네갈은 2023년 대회에서 16강에 그쳤다.


11. 참고 문헌[편집]



[1] 레위니옹은 FIFA 회원국이 아니며, CAF에서도 준회원국이기 때문에 참가할 수 없다. 이전에 탄자니아에 합병된 잔지바르는 독립국가 시절 1962년 대회 예선에 참가했다가 탈락한 적이 있다.[2] 예: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 AFC 아시안컵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3] 그리고 남아공은 실격을 넘어 아예 CAF에서 퇴출당하는 바람에,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대통령이 아파르트헤이트를 철폐한 후인 1992년까지 대회 참가 자체가 막힌다.[4]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실격[5] UAR(United Arab Republic). 이집트가 시리아 와 잠시 연합해서 만들어졌던 나라로 아랍 연합 공화국 대표팀 기록은 이집트 대표팀이 승계한다.[6] 3팀만 참가했다. [7] 현재의 콩고민주공화국[8] 2021년 개최 예정이었지만 COVID-19로 인해 1년 늦게 개최된다. 2022년에 개최되지만 대회 명칭은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으로 유지한다.[9] 2023년 개최 예정이였지만 2024년 1월로 변경되었다. 2024년에 개최되지만 대회 명칭은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로 유지한다.[10] 2012년은 적도기니와 공동 개최, 적도기니는 본인들이 단독 개최한 2015년에 4강에 들었다.[11] 승부차기는 무승부에 포함된다. 1992년 대회까지는 승리 승점을 2점으로 했으나 여기에서는 이전 대회 승리 승점도 3점으로 기록한다.[12] 승점/경기 횟수를 나눈 점수[13] 본래 리비아가 2013년에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2011 리비아 민주화 운동이 지속되자 개최가 어렵다고 판단되어 2017년 개최국이었던 남아공과 개최권을 서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후 리비아도 2017년 대회 개최를 포기하였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4월 9일에 2017년 대회의 개최지를 가봉으로 결정하였다.[14] 원래는 기니였지만 박탈되면서 모로코로 변경되었다.[15] 오죽하면 아프리카 선수들을 영입할 때 네이션스 컵에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항을 넣으라는 의견마저 현실에서 나올 정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20:14:51에 나무위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